투자정보
투자정보기업지배구조
(2021.12.31 기준)
순번 | 구분 | 주주수 | 주식수 | 지분율 |
---|---|---|---|---|
1 | 개인 | 30,440 | 13,150,837 | 33.91% |
2 | 외국인 | 59 | 245,946 | 0.63% |
3 | 국내기관 | 188 | 3,324,093 | 8.55% |
4 |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| 1 | 19,319,000 | 49.81% |
5 | 우리사주조합 | 1 | 2,742,644 | 7.05% |
합계 | 합계 | 30,689 | 38,782,520 | 100% |
구분 | 핵심지표 | 준수여부 | 비고 |
---|---|---|---|
주주 | ① 주주총회 4주 전에 소집공고 실시 | O | 주주총회 4주 전(28일전) 공고 |
② 전자투표 실시 | O | 전자투표제도 도입 | |
③ 주주총회의 집중일 이외 개최 | X | 결산 확정 및 대내외 일정 고려 | |
④ 배당정책 및 배당실시 계획을 연 1회 이상 주주에게 통지 | X | 배당결정공시, 지급공고를 통해 안내 | |
이사회 | ⑤ 최고경영자 승계정책(비상시 선임정책 포함) 마련 및 운영 | O | 관련정책 마련 및 운영 중 |
⑥ 내부통제정책 마련 및 운영 | O | 리스크관리, 내부회계관리제도 | |
⑦ 이사회 의장과 대표이사 분리 | X | 미분리 | |
⑧ 집중투표제 채택 | X | 정관상 배제 | |
⑨ 기업가치 훼손 또는 주주권익 침해에 책임이 있는 자의 임원 선임을 방지하기 위한 정책 수립 여부 | O | 집행임원인사관리규정 마련 및 운영 | |
⑩ 6년 초과 장기재직 사외이사 부존재 | O | 장기재직 사외이사 부존재 | |
감사기구 | ⑪ 내부감사기구에 대한 연 1회 이상 교육 제공 | O | 교육계획 수립 및 제공 |
⑫ 독립적인 내부감사부서(내부감사업무 지원 조직)의 설치 | X | 경영지원본부 내 내부감사업무 부서 설치 | |
⑬ 내부감사기구에 회계 또는 재무 전문가 존재 여부 | O | 감사위원회 위원 중 회계전문가 존재 | |
⑭ 내부감사기구가 분기별 1회 이상 경영진 참석 없이 외부감사인과 회의 개최 | X | 미실시 | |
⑮ 경영 관련 중요정보에 내부감사기구가 접근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하고 있는지 여부 | O | 감사위원회 운영규정으로 위원회의 권한 명시 |
제 22기 주주총회 결과(참석주식수: 22,657,705주)
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제외 참석률: 17.15%
부의안건 | 가결여부 | 찬성률 | |
---|---|---|---|
제1호 의안 | ∙ 제22기 재무제표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(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) |
가결 | 99.94% |
제2호 의안 | ∙ 이사 선임의 건 제2-1호: 사내이사 채헌근 선임의 건 제2-2호: 사외이사 김대영 선임의 건 제2-3호: 사외이사 박인섭 선임의 건 |
가결 | 99.93% |
제3호 의안 | ∙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제3-1호: 감사위원 김대영 선임의 건 제3-2호: 감사위원 박인섭 선임의 건 |
가결 | 99.34% |
제4호 의안 | ∙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선임의 건 제4-1호: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공상훈 선임의 건 |
가결 | 99.34% |
제5호 의안 | ∙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| 가결 | 99.72% |
2022년 제1차 임시주주총회 결과(참석주식수: 22,726,598주)
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제외 참석률: 16.02%
부의안건 | 가결여부 | 찬성률 | |
---|---|---|---|
제1호 의안 | ∙ 정관 일부 변경의 건(제8조 주식의 종류 등) | 가결 | 98.73% |
제21기 주주총회 결과(참석주식수: 18,459,887주)
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제외 참석률: 19.95%
부의안건 | 가결여부 | 찬성률 | |
---|---|---|---|
제1호 의안 | ∙ 제21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(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포함) | 가결 | 100% |
제2호 의안 | ∙ 정관 일부 변경의 건(제40조 감사위원회의 구성 등) | 가결 | 99.99% |
제3호 의안 | ∙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| 가결 | 99.98% |
(2021년 기준)
구분 | 2021년 | |||
---|---|---|---|---|
ESG 평가등급 | B | |||
지배구조 | B+ | |||
사회 | B | |||
환경 | C |
※ 평가기관 : 한국기업지배구조원(KCGS)
자이S&D의 이사회 구성 인원은 사내이사 2인, 사외이사 3인의 총 5인입니다. 이사회는 정기이사회와 임시이사회로 구성되어 있으며, 이사회의 결의는 이사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이사 과반수 이상의 동의로 이루어집니다. 정기적으로 분기별 1회 이상의 이사회를 개최하며, 수시로 의결사항이 발생할 경우 임시이사회를 소집하고 있습니다.
자이S&D는 경영에 대한 전문지식 및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회사 업무 전반에 대해 적극적으로 조언해 줄 수 있는 전문가들의 필요성을 인지하였습니다. 이에 법률 및 재무, 마케팅 전문가를 사외이사로 선임하여, 경영 투명성과 재무안정성을 확보하고 산업 전반에 경영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였습니다.
(2022.03.25 정기주주총회 이후)
구분 | 성명 | 직책 | 선임일 | 임기만료일 | 주요경력 | 선임배경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사내이사 |
엄관석 |
대표이사, 이사회 의장 |
2021.03 |
2024.03 |
자이S&D 대표이사 |
- |
채헌근 |
CFO |
2022.03 (2019.04) |
2025.03 |
자이S&D 경영지원본부장 |
- |
|
사외이사 |
공상훈 |
감사위원회 위원장 |
2022.03 |
2025.03 |
법률사무소 대환 대표변호사 |
법률 전문가 |
박인섭 |
감사위원회 위원 |
2022.03 |
2025.03 |
前 KBS 방송문화 연구소 연구위원 |
홍보, 마케팅 전문가 |
|
김대영 |
감사위원회 위원 |
2022.03 (2019.04) |
2025.03 |
前 케이뱅크은행 상임감사위원 |
재무 전문가 |
※ 재선임의 경우 최초 선임일을 괄호안에 기재
2021년 자이S&D 이사회는 6차의 정기이사회와 4차의 임시이사회로 구성된 총 10회의 이사회를 개최하였습니다. 이사는 최소 70% 이상 이사회에 출석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며, 모든 이사가 이사회 출석 규정을 준수 하였습니다. 주요 의안 내용은 2020년 경영실적 및 2021년 경영계획 보고, 제무재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 등 기업 관리에 필수적인 사안에서부터 타법인에 대한 출자 승인 등 회사 전반에 걸친 중요한 사업적 보고를 수행하였습니다. 2021년 자이S&D 이사회는 모든 사안에서 가결을 이끌어 내 효율성 있는 이사회 운영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습니다.
이사회 개최횟수 |
이사회 심의안건 (보고안건) |
사외이사 평균참석률 |
|
---|---|---|---|
2019년 | 17회 | 22건(2건) | 100% |
2020년 | 6회 | 10건(4건) | 100% |
2021년 | 10회 | 20건(7건) | 100% |